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로스팅2

로스터기 로스팅 기계의 진화 원통형 가정용 프라이팬형 드럼 로스터 프라이팬에서 드럼까지, 로스터의 진화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로스터는 500여 년 동안 쌓아온 지식의 결정체다. 로스터는 끊임없이 진화했고, 기존에 사용하던 기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디자인이 도입되었다. 로스터의 개선은 커피 품질의 개선으로 이어졌고, 품질의 개선은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로스터는 무엇을 위해 변화했는가? 로스터가 진화해 온 길을 살펴보면 발명가들이 3가지 문제를 늘 고민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첫 번째는 고른 열전달이다. 기계에 넣은 생두에 열이 골고루 전달되어야 품질이 일정한 좋은 원두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로스터에 생두를 넣고 빼는 데 드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인데, 이 시간이 단축될수록 처리할 수 있는 양이 많아지고 인건비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세 번째.. 2024. 1. 13.
마이야르 반응 뜻 커피 원두 로스팅 단계 수분 날리기 크랙 로스팅 단계 로스팅 1단계 - 수분 날리기 본격적으로 로스팅에 대해서 알아보자. 로스팅 단계를 거치며 생두가 어떻게 커피 원두로 변하는지를 아는 것은 무척 흥미롭다. 모든 드럼 로스터에는 정해진 적정 용량을 넣는 것이 좋다. 정해진 용량보다 많이 넣으면 로스팅이 지연되며 생두에 나쁜 영향을 준다. 용량보다 너무 적게 넣으면 생두가 드럼 표면에 닿아 타버릴 수 있다. 로스팅 초기에는 되도록 빨리 열을 전달해야 하므로 생두 투입 전에 드럼을 미리 예열해두어야 한다. 생두가 가열되면 생두 속 수분이 점차 증발한다. 일반적으로 생두의 수분 함량은 5~7분 안에 11%에서 2%로 떨어진다.(로스터의 온도, 배기, 생두의 양과 밀도에 따라 다르다.) 연녹색이던 생두는 가열할수록 옅은 연두색으로 변했다가 오렌지색을 .. 2024. 1.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