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리학4 심리학 & 현대 과학 마음 탐구 심리학은 과학이다 1. 심리학은 과학이다 '심리학은 과학이다'라고 하면 혹자는 그 복잡한 인간의 마음을 어떻게 과학이라고 단정 지을 수 있느냐며 따져들 것만 같다. 하지만 현대의 화려한 과학 기술은 인간 마음의 실체까지 연구하기에 이르렀으며 그 결과 많은 부분의 실체를 탐구하는 데 성공하였다. 물론 지금까지 발견한 것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한 정도라 할 수도 있다. 과학의 역사를 보라. 불과 100년 전만 해도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수많은 일들이 지금 우리의 눈앞에서 펼쳐지고 있지 않은가. 마찬가지로 마음에 관한 과학적인 사실들도 우리가 모르는 사이 많은 부분들이 속속 밝혀질 것이다. 2. 마음에 대한 탐구 우선, 인간의 마음을 탐구하기 위해서는 그 실체가 어디 있는지부터 밝힐 필요가 있다. 당장의 느낌으.. 2023. 6. 22. 유혹에 약한 남자 유형 MBTI 유혹에 약한 남자 유형 여기서 말하는 유혹은 앞서 말한 바람, 불륜을 제외한 유혹을 말합니다. 게임이나 취미 혹은 솔깃한 제안, 이직, 퇴사 및 주변에서 이들을 꼬드기는 그 모든 것들을 말합니다. 1. 유혹에 약한 유형 일반적으로 P가 들어가는 유형들이 유혹에 많이 약해요. 특히 SP 유형들은 쾌락, 즐거움에 매우 약하지요. 그래서 게임이나 취미, 유흥 등에 매우 약한 편입니다. 그리고 ENFP 유형이나 ENTP 유형은 한 직장에 오래 있지 못하고 이직이나 자신의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한 창업 유혹에 약하지요. 특히 ENTP 유형은 공방이나 자기만의 자그마한 사무실, 공장을 차려서 운영하는 사람이 참 많아요. ENFP 유형은 너무 낙천적인 성격이라 회사를 관두고 나가서 자기가 창업하면 반드시 성공할 수 있.. 2023. 6. 9. 해결중심 상담 저항 존재하지 않는다 저항은 존재하지 않는다 Walter와 Peller에 따르면, “내담자는 항상 협력한다. 그들은 어떻게 변화가 일어나는지 보여 준다. 우리가 그들의 생각을 이해하고 그들에게 맞게 행동하는 한 협력은 불가피하다."라고 한다(1992, p. 200). 내담자에게 무엇이 최상인지 상담자가 알아야 한다는 생각은 의학 모델로부터 기인한다. 내담자가 상담자의 제안과 조언을 따르지 않으면 그것은 내담자 자신의 성격적 결함이나 깊은 정신병리 때문이라는 것이다. 의학 모델에서 기대하는 것은 개입을 통해 상담자가 내담자를 호전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그것이 효과가 있게 되면 상담자는 자신의 일에 대해 역량이 있다고 느끼면서 내담자의 호전에 대해 스스로 신뢰한다. 호전이 없으면 비난은 빈번하게 내담자에게 향하고 그렇게 함으로.. 2023. 5. 19. 해결중심 상담 중요한 질문 6가지 해결중심 상담 중요한 질문 6가지 1. 해결중심 상담 질문 첫 번째 회기 이전에 생긴 변화에 대해 질문하기 “면담 약속을 한 이후에 어떤 변화가 있었나요?" 많은 내담자들은 면담 약속을 한 이후에 호전되었다고 보고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질문한다. “그것을 어떻게 해냈나요?" 그리고 "이런 일이 좀 더 자주 있으려면 무엇이 필요할까요?" 모든 일은 변화 가능하다는 전제와 일치하는 질문이며, 요지는 변화가 생길 것인가 아닌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언제 생기고 또 생겼는가에 있다는 것과 일치한다. 2. 해결중심 상담 질문 두 번째 목표에 대해 질문하기 “이 대화의 목표는 무엇인가요?" 또는 “이 대화가 끝날 즈음, 대화가 의미가 있었고 목표가 달성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면 대화를 통해 무엇을 성취하기를 원하.. 2023. 5. 17. 이전 1 다음 반응형